Jun 26, 2024
안녕하세요, 학생 여러분!
2025년 SKY 입시에서 학생부종합 전형에 큰 변화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모집 인원, 수능 최저학력 기준, 평가 요소 등에서 많은 변화가 있는데요. 학생부종합전형을 준비하려면 지원하는 대학이나 학과의 평가 요소뿐만 아니라, 2025학년도 시행계획의 전형 변화와 특징도 잘 살펴봐야 해요. 특히 올해는 변화가 많아서, 지원을 준비하는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이 꼭 주목해야 하는데요.
오늘은 2025년 SKY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을 포함한 수시전형에서 달라진 핵심 사항을 알려드릴게요!
📍2025 수시 모집요강 체크리스트 4가지!
수시 전형이란?

출처: Freepik
수시는 대학들이 내신 성적, 학교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면접, 대학별 고사 등 자체 기준에 따라 학생을 모집하는 대학입학 전형입니다. 대표적인 수시전형으로는 학생부종합전형, 학생부교과전형, 논술전형, 특기자전형, 농어촌전형 등이 있는데요. 가장 많은 선발 인원을 자랑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은 내신 성적뿐만 아니라 자기소개서, 면접, 학교생활기록부를 종합적이고 정성적으로 평가합니다. 수시전형은 수능 전에 실시되며, 수시 모집에서 합격한 경우 정시 모집이나 추가 모집에 지원할 수 없어요.
📍2024 수시 지원 기간은 언제? 수시 지원 총정리 가이드
서울대 수시 변경 사항

출처: 서울대학교
1) 24년 대비 25년 수시 모집 비율 변화
학년도 | 수시 모집 인원 | 수시 모집 비율 | 정시 모집 인원 | 정시 모집 비율 |
|---|---|---|---|---|
2024 | 2,177명 | 58.84% | 1,523명 | 41.16% |
2025 | 2,176명 | 58.86% | 1,521명 | 41.14% |
2025학년도 서울대 수시 모집 비율은 58.86%로, 2024학년도 58.84%와 거의 비슷합니다. 정시 모집 비율도 2025학년도 41.14%, 2024학년도 41.16%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
2) 수시 전형 변경 사항
✅ 서울대 수시 핵심권장과목 변경 – 식품영양학과, 약학계열
2024 | 2025 |
|---|---|
화학Ⅱ, 생명과학Ⅱ | 화학Ⅰ, 생명과학Ⅰ |
서울대 수시는 서류평가에서 지원자가 이수한 교과목도 중요하게 봅니다. 핵심권장과목은 필수적으로 이수하는 것을 권장하는 과목인데요, 올해 식품영양학과와 약학계열의 핵심권장과목이 변경되었습니다. 작년에는 화학Ⅱ, 생명과학Ⅱ였지만, 올해는 화학Ⅰ, 생명과학Ⅰ으로 완화되었습니다.
✅ 서울대 수시 권장과목 변경 – 지리교육과, 식품영양학과, 의류학과, 약학계열
모집단위 | 2024 | 2025 |
|---|---|---|
지리교육과 |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 – |
식품영양학과 | – | 화학Ⅱ, 생명과학Ⅱ |
의류학과 | 화학Ⅱ, 생명과학Ⅱ 또는 확률과통계 | 화학Ⅰ, 생명과학Ⅰ |
권장과목은 이수하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는 과목입니다. 지리교육과는 작년에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를 권장했지만, 올해는 권장과목을 폐지했습니다. 식품영양학과는 올해 새롭게 화학Ⅱ, 생명과학Ⅱ를 지정했고, 의류학과는 화학Ⅰ, 생명과학Ⅰ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약학계열은 미적분, 화학Ⅱ 또는 생명과학Ⅱ로 달라졌습니다.
인문계열에서는 지리교육과를 제외하고, 경제학부와 농경제사회학부에서만 미적분, 확률과 통계를 지정하고 있는데요. 권장과목을 제시하지 않은 모집단위는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따른 적극적인 선택과목 이수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학과들도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서울대 수시 일반전형 체육교육과 수능최저 완화
2024 | 2025 |
|---|---|
2개 영역 합 4등급 이내 | 2개 영역 합 6 등급 이내 |
수시모집의 일반전형에서는 디자인과와 체육교육과에서만 수능최저를 적용하는데요. 체육교육과의 수능최저가 올해 변경되었습니다. 2개 등급 합 4에서 2개 등급 합 6으로 완화되었습니다.
고려대 수시 변경 사항

출처: 고려대학교
1) 24년 대비 25년 수시 모집 비율 변화
학년도 | 수시 모집 인원 | 수시 모집 비율 | 정시 모집 인원 | 정시 모집 비율 |
|---|---|---|---|---|
2024 | 2,593명 | 57.96% | 1,805명 | 40.34% |
2025 | 2,680명 | 57.87% | 1,873명 | 40.44% |
2025학년도 고려대 수시 모집 비율은 57.87%로, 2024학년도 57.96%와 거의 비슷합니다. 정시 모집 비율도 2025학년도 40.44%, 2024학년도 40.34%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
2) 수시 전형 변경 사항
✅ 논술전형 신설
2025학년도 고려대의 큰 변화 중 하나는 논술전형의 신설이에요. 모집정원의 약 10%인 344명을 논술 100%와 수능 최저 기준으로 선발한다고 합니다. 수능 최저 기준은 경영대학의 경우 국어, 수학, 영어, 탐구(상위 1과목) 4개 영역 등급 합이 5 이내예요. 다른 계열은 4개 영역 합 8 이내로, 수능 성적이 합격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돼요.
✅ 전형방법 변경 (학업우수전형, 사이버국방전형, 고른 기회전형, 재직자 전형)
학업우수전형은 면접을 폐지하고 서류 100%로 선발합니다.
사이버국방전형은 2단계 평가에서 면접을 폐지하고 1단계 성적 80%+기타 20%를 합산하여 선발합니다.
고른 기회전형/재직전형은 2단계 면접 반영비율을 30%에서 50%로 확대합니다.
올해 고려대 학생부종합전형 중 가장 큰 변화가 있는 전형은 ‘학업우수’ 전형이에요. 원래는 2단계에서 면접을 30% 반영했지만, 2025학년도부터는 면접 없이 서류 100%로 일괄 선발하게 되었어요. 그래서 면접 부담이 사라져서 학업 성취도는 높지만 면접에 약했던 학생들이라면 올해 지원을 고려해 볼 만해요. 하지만 수시에서 합격하면 정시에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수능 경쟁력이 있다면 신중하게 결정하는 게 좋아요.
✅ 기타 변경 사항
모집단위의 계열과 관계없이 수능 수학영역 선택과목으로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모두를 인정합니다.
수시 학교추천전형 추천인원을 고교별 추천인원을 3학년 재적학생수의 4%에서 고교별 12명으로 변경합니다.
사이버국방전형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탐구영역 반영방법을 2과목 평균 반영에서 상위 1과목으로 줄여 선발합니다.
특기자전형 체육교육과는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사항 해당자는 1단계 평가에서 부적격 처리합니다.
2025학년도부터 상급학교 조기진학 허가자는 졸업예정자로 인정하지 않으므로 지원할 수 없습니다.
스마트모빌리티학부 50명, 2023학년도부터 신설, 학석사 통합과정, 현대자동차의 채용연계형 계약학과(정원 외)로 선발합니다.
연세대 수시 변경 사항

출처: 연세대학교
1) 24년 대비 25년 수시 모집 비율 변화
학년도 | 수시 모집 인원 | 수시 모집 비율 | 정시 모집 인원 | 정시 모집 비율 |
|---|---|---|---|---|
2024 | 2,101명 | 55.79% | 1,665명 | 44.21% |
2025 | 2,135명 | 55.93% | 1,682명 | 44.07% |
연세대 2025 입시요강에 따르면, 2025학년도 수시 모집 비율은 55.93%로, 2024학년도 55.79%와 거의 비슷합니다. 정시 모집 비율도 2025학년도 44.07%, 2024학년도 44.21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
2) 수시 전형 변경 사항
✅ 학생부교과전형(추천형) 면접 폐지, 수능 최저 도입
연세대 2025 입시요강에 따르면, 연세대학교는 1단계에서 교과 100%로 모집인원의 5 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교과 70%와 면접 30%로 최종 선발하는 방식이었어요. 그런데 2025학년도부터는 면접을 없애고, 교과 100%와 수능 최저 조건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 학생부종합전형 면접 방식 변경
연세대 2025 입시요강에 따르면, 학생부종합 전형 활동우수형, 국제형, 기회균형 전형의 면접 방식이 달라졌어요. 기존에는 제시문 기반의 학업 역량을 평가했으나, 2025년부터는 제시문을 기반으로 한 논리적인 사고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면접으로 봅니다.
✅ 의과대학 의예과 면접 방식 변경
연세대 2025 입시요강에 따르면,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의예과의 면접 방식도 변경되었어요. 예전에는 제시문을 기반으로 학업 역량을 평가했지만, 이제는 제시문을 기반으로 한 인적성 면접, 논리적 사고력,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하게 되었어요. 그리고 학생부교과(추천형) 전형에서는 면접이 없어졌답니다.
✅ 논술 전형 자연계열 과학 과목 폐지
2025학년도부터 자연계열 논술 전형에서 과학 논술을 폐지하고, 수학 과목만 실시하기로 했어요.
✅ 학생부종합전형[국제형(국내고)] 수능 최저 완화
학생부종합 전형[국제형(국내고)]의 수능 최저 조건이 완화되었어요. 기존에는 영어 1등급 이내 조건이었는데, 영어 2등급 이내를 충족하는 조건으로 바뀌었습니다.
✅ 기타 변경사항
학생부종합전형[기회균형 Ⅱ] 전형 폐지
특기자전형 [국제인재] 언더우드국제대학 언더우드학부(인문/사회) 및 언더우드학부(생명과학공학) 면접 통합 : 언더우드학부(생명과학공학) 면접 문항을 언더우드학부(인문/사회)로 통합하여 운영
학생부종합전형 [활동우수형/국제형/기회균형/고른 기회전형] 및 특기자 전형으로 서류 평가를 진행할 시, 정성평가로 학교폭력 조치사항을 반영
수시 모집 변화의 의미 및 영향 분석

출처: Freepik
1) 수시모집과 정시모집의 기본 기조 유지
2025학년도에도 수시모집은 학생부 위주, 정시모집은 수능 위주의 선발 방식을 유지합니다. 수시모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전형은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전체 수시 모집 인원의 56.9%인 154,475명을 선발해요. 그 뒤를 학생부종합(29.1%), 실기∙기타(9.9%), 논술(4.1%)이 잇고 있어요. 반면, 정시모집에서는 91.9%가 수능 위주로 선발됩니다. 전체 선발 규모를 보면 학생부교과, 학생부종합, 정시 수능, 논술 순입니다.
✅ 서울 상위 15개 대학의 경우
서울 소재 상위 15개 대학을 보면, 정시 수능, 학생부종합, 학생부교과, 논술 순으로 선발 비중이 다릅니다. 상위권 대학을 목표로 한다면, 정시를 대비한 수능 준비는 필수입니다. 특히,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합격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수능 성적 관리에 신경 써야 해요.
2) 고려대 등 수시 논술전형 신설 대학 증가
2025학년도에는 41개 대학에서 논술전형을 실시하며, 전년도보다 52명 증가한 11,266명을 선발합니다. 고려대, 상명대, 신한대, 을지대가 논술전형을 새로 도입했고, 서경대는 논술전형을 폐지했어요. 특히 고려대는 2018학년도 이후 약 8년 만에 논술전형을 부활시켜, 총 344명을 논술 100%로 선발합니다. 교과 성적을 반영하지 않지만, 매우 높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논술전형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논술 실력을 키우는 것뿐만 아니라,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전략적인 수능 준비도 필요할 것으로 예상돼요.
3) 수능 최저학력기준 신설
2025학년도 대입의 또 다른 변화는 상위권 대학들이 수시전형 모집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신설했다는 점이에요. 고려대, 서울시립대, 연세대, 한양대 등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고려대는 논술전형을 신설하면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했는데, 특히 경영대학의 기준이 매우 높아요. 연세대와 한양대도 추천형 전형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도입했습니다. 이로 인해 수시전형에서 수능의 영향력이 더 커졌어요. 또한, 기존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변경한 대학들도 많으니, 관심 있는 대학의 변경 사항을 꼭 확인해 보세요.
지금까지 서울대, 고려대 및 연세대 2025 입시요강을 통해 2025 SKY 학생부종합전형 달라진 점을 알아봤는데요. 변화된 사항들을 잘 파악하고 준비하면 목표 대학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수 있을 거예요. 새로운 전형 요소들을 충분히 이해하고, 그에 맞는 전략을 세워서 성공적인 입시 준비를 하시길 바랍니다. 목표를 향한 여러분의 모든 한 걸음 한 걸음을 설탭이 응원하겠습니다!




